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팀보이드
- game art
- Roy Ascott
- Jeffrey Shaw
- 질베르트 시몽동
- 비디오아트
- 김병호
- contax g
- 미디어아트
- BMW
- biogon
- 유원준
- 인천아트플랫폼
- UVA
- panasonic gf-1
- grd
- media art
- 알고리즘 아트
- 백남준
- planar
- 웹툰비평
- Pierre Levy
- 바람난미술
- zeiss
- Cybernetics
- leica
- TV부다
- Z4
- 라이카
- 퍼블릭아트
- Today
- Total
목록Study & Research (6)
유원준의 문화/예술 비평
, 가즈오 이시구로(Kazuo Ishiguro), 2021 이라는 소설을 알게된 건 최근의 일이다. 문학 작품에 관한 지식이 많지 않음에도 ‘가즈오 이시구로’라는 이름은 노벨문학상의 유명세 덕분인지 뇌리에 박혀있었는데 우연한 기회에 해당 작품을 추천받게 된 것이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 A.I)’의 개념은 최근 예술 분야에서도 매우 활발하게 논의되는 주제이자 미래 예술의 모습을 예견하는 데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이슈이다. ‘인공지능 예술’이나 ‘인간과 기술 간 네트워크’에 의한 인간의 의식/기억 구성에 관심있는 필자에게는 더욱이 흥미로운 주제인데, 지난주 관련 논문을 마무리한 시점에 마침 이 작품을 마주하게 된 것이다. 문학 작품은 언제나(는 아닐지라도 매우 빈번하게) ..
전공이 철학 쪽이거나 해당 영역에 관심이 많아 철학(혹은 미학)서를 주로 읽는 이들이라면 난해한 용어와 개념에서 탈출하여 조금은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에 끌리기 마련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책을 통해 쉼을 실천하며 다른 세계로의 이동을 꿈꾸게 만드는 소설책이나 시집 등은 매우 매력적인 탈출구로 여겨진다. 특히 '과학-소설(Science-Fiction)'의 경우, 동시대의 철학적 지류와의 교차점을 형성하는 가운데 특유의 상상력이 더해진 것일 수 있기에 이러한 욕구는 더욱 커지게 된다. '메이야수(Quentin Meillassoux)'의 책, '형이상학과 과학 밖 소설'을 처음 접하게 되었을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과학 밖 소설'이라는 수식도 무언가 신선했지만 당구대와 큐, 당구공이 일러스트로 그려진 책의 ..
매일 지겹게도 드나들던 넷플릭스에 새로운 다큐가 등장했다. 아마도 게임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대환영을 할 것만 같은 작품인데,,, 제목부터 '하이 스코어(High Score)'이다 !!! 게임의 역사를 흩어주는 다큐인데, 니시카도 도모히로(Nishikado Tomohiro)가 스페이스 인베이터(Space Invader)를 제작할 때의 상황을 보여주는 장면도 흥미롭고 특히, 오프닝 장면에서부터 얼핏 등장하는 '아타리(Atari) 쇼크'를 견인한 ㅎㅎ ㅠ.ㅠ 불운의 작품인 의 개발자 '하워드 스콧 월쇼(Howard Scott Warshaw)의 인터뷰까지... 당시(1982년) 80억 달러에 육박했던 비디오게임 시장을 1억달러로 축소시킨 악명을 뒤집어 쓴 작품이니... 그나저나 5주안에 개발한 작품이라는 사..
얹그제 받은 이메일 한통. 송신자는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Culture and Society' 인데, 내용인즉슨 작년에 국내 학회지에서 발표한 논문을 인상깊게 읽었다며,,, 자신들의 학회에 논문을 기고하고 편집인에 참여해달라는 것이네요. 왠지 느낌이 쎄합니다... 구글링을 해보니 역시나... Flaky Academic Journals 이었습니다. ISSN 번호까지 기재되어 있고 심지어 연락처와 주소까지 적혀있었는데...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Culture and Society ISSN Online: 2575-3363 ISSN Print: 2575-3460 네이버에 검색을 해보니,,, 이런 경험을 공유하신 연구자 분(산..
차별의 역사는 길고 길다. 우리들의 역사에서도 그리고 바다건너의 다른 문화적, 사회적 영토에서도 온갖 종류의 억압과 차별은 존재했었고 현재에도 여전히 진행중이다. 주체를 중심으로 짜여진 관념론의 전통이 해체되고 '다른 이'와 '다른 것'을 주체로 환원하거나 동화하고자 하는 타자 중심의 철학이 끊임없이 소개되고 있지만, 역설적으로 세상은 그러한 담론이 더욱 절실히 필요한 모습으로 변해간다. 최근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때아닌 인종 차별에 관한 논의가 한창이다. 발단이 된 사건은 의정부고 소년들의 '관짝소년단 코스프레'에 대한 샘 오취리씨의 발언이었는데, 요약하자면 코스프레를 위한 의정부고의 학생들이 취한 '블랙페이스'(1)가 흑인들에 대한 인종차별적 내용으로 읽힐 수 있어 불쾌하다는 것이었다. 다만 이..
사이버스페이스 독립선언문(A Cyberspace Indepencence Declaration)은 미합중국 대통령 빌 클린턴이 통신법 수정안에 서명하자 1996년 2월 8일 EFF의 사이버운동가 존 페리 바를로가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의 독립을 선언하며 인터넷에 게시한 문서이다. (ko.wikipedia.org/wiki/%EC%82%AC%EC%9D%B4%EB%B2%84%EC%8A%A4%ED%8E%98%EC%9D%B4%EC%8A%A4_%EB%8F%85%EB%A6%BD%EC%84%A0%EC%96%B8%EB%AC%B8) 존 페리 발로(John Perry Barlow)는 사이버스페이스는 산업 자본주의의 법칙들이 더 이상 적용될 수 없는 새로운 정치 영역이며 새로운 정치 질서는 우리의 감시 하에 있다고 주장한다. 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