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effrey Shaw
- TV부다
- Pierre Levy
- Roy Ascott
- media art
- grd
- Z4
- UVA
- zeiss
- 알고리즘 아트
- 질베르트 시몽동
- 퍼블릭아트
- 백남준
- leica
- contax g
- 유원준
- 라이카
- Cybernetics
- 비디오아트
- planar
- game art
- 바람난미술
- 웹툰비평
- 인천아트플랫폼
- BMW
- panasonic gf-1
- 팀보이드
- biogon
- 김병호
- 미디어아트
- Today
- Total
유원준의 문화/예술 비평
정흥섭 / 디지털 스투디움의 미학 _ 그 파열의 순간을 기록하며 본문
“앤디 워홀에 관한 모든 것을 알기를 원한다면, 바로 내 그림들과 영화들과 나의 표면을 봐라.
거기에 내가 있다. 그 배후에는 아무 것도 없다” : Andy Warhol
토마스 크로우(Thomas Crow)는 워홀(Warhol)의 전기 의자 이미지들로 구성된 작품을 마주하며 그를 사형 제도에 반대하는, 또한 미국적 상처에 주목하는 작가로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그의 분석은 당시의 팝 아트, 그리고 워홀에 대한 일반적 분석 – 대상을 탈 상징화하는 것 – 과는 노선을 달리한다. 그러나 워홀은 위의 언급에 머무르지 않고, 다음과 같은 말을 잇는다.[1]
“죽음 연작을 하는 데에 대한 심오한 이유란 없었으며, 그들이 시대의 희생자였던 것도 아니다. 다시 말해 그것을 하는 데에 대한 이유는 전혀 없었으며, 단지 표면적인 이유밖에는 없었다.” : Andy Warhol [2]
위와 같은 워홀의 언급은, 일견 당시의 팝 이미지들에 대한 분석에 힘을 실어주는 듯 하지만, 또한 굉장히 역설적으로도 들리기 때문에 어떠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더욱 유용한가? 라는 질문을 무색하게 만든다. 다만 추측해 볼 수 있는 것은 워홀은 자신의 작품 속에서 이미지가 지닌 외상적 실재를 이용하여 그것을 고정시키고, 가리고, 다시 그것을 생산하는 일련의 작업을 반복하며, 이미지에 의해 건드려진 주체의 지각과 의식 사이에서 파열을 발생시켰던 듯 하다. 헬 포스터는 이러한 그의 시도들을 ‘외상적 리얼리즘’의 특성으로 간주한다.[3]
글의 서두에서 워홀과 그의 작품 분석(헬 포스터 등의)을 소개하는 이유는 오늘 만나볼 작가
그러나 작가
이제 그의 작업 속에 감추어진 하나의 전략을 살펴보자.
글.
기술미학연구회 홈페이지 http://tech-aesthetic.tistory.com/
정흥섭 작가 홈페이지 http://heungsup.tistory.com/
[1] Thomas Crow, “Saturday disasters: Trace and Reference in Early Warhol,”, in Serge Guilbaut, ed., Reconstructing Modernism,
[2] Gretchen Berg, “Andy: My True Story,”
[3] Hal Poster,
[4] 작가 개인 블로그 http://heungsup.tistory.com/ 참조.
[5] Pierre Levy,
[6] Tautology (logic), a statement of propositional logic which holds for all truth values of its atomic propositions / Tautology (rhetoric), use of redundant languag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7] 롤랑바르트(Roland Barthes)는 무수한 사진 속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기호들에 의해 길들이기에 가까운 ‘평균’ 감정 상태에 빠지게 된다고 설명하며, 이를 라틴어인 ‘스투디움(studium)’이라는 말로서 표현한다. 또한 이러한 스투디움을 깨뜨리기 위한 예리한 점(點)들로서 ‘푼크툼(punctum)’이란 단어를 제시한다. 더 자세한 사항은 다음을 참조하기 바람. Roland Bart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