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원준의 문화/예술 비평

한국 현대 미술계를 향한 장영혜씨의 비판의 목소리 본문

Arts & Artists

한국 현대 미술계를 향한 장영혜씨의 비판의 목소리

yoo8965 2006. 6. 25. 02:18
한국 현대 미술계를 향한 장영혜씨의 비판의 목소리
 공감하는 부분도 없진 않지만 그의 비판은 어딘가모를 분노를 자아내는군요. ^^;

원문_

+ "Media City Seoul"
http://www.mediacity.seoul.kr/is a "new media"
festival that will take place beginning in September. Korea likes big events, Korean artists like big art, and the Korean government doesn't mind spending big money on big events with "big" artists that might grab the attention of the world, be it just for a moment. I clicked on the Web site, and there is no mention of Web art nor of any online events.

The Web site itself seems cursory, more like a half-hearted attempt to give the festival a cutting-edge facade. From the looks of it, Media City Seoul sees video as the last frontier.

"미디어시티 서울"은 9월 초에 열리는 뉴미디어 페스트벌입니다. 한국은 큰 행사들을 좋아하고 한국 아티스트들은 대단한 예술을 좋아하고 한국 정부는 잠시만일지라도 세계의 주목을 끌 수 있는 "거대한" 예술가들과 함께 거대한 이벤트를 만드는 데 거대한 돈을 쓰기를 거리끼지 않습니다 . 나는 웹사이트를 클릭했고 거기에는 웹아트에 대한 어떠한 언급고 또한 어떠한 온라인 행사도 없었습니다. 웹사이트 자체가 피상적으로 보일 뿐 아니라, 페스티벌에 첨단의 외양을 주려고 하는 열의없는 시도처럼 보였습니다. 그것의 외관으로 보았을 때, 미디어 시티 서울은 비디오를 마지막 미개척 영역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 Last spring, "The Kwangju Biennale 2000"
http://kwangjubiennale.org/inthe city of Kwangju, which is in the south of South Korea, devoted a vast exhibition hall to what it called "new media art," which didn't include Web art. What it did include was mostly computer animation.

작년 봄, 한국 광주시에서 "광주 비엔날레 2000"에서 "뉴미디어 아트"라고 불리우는 것에 거대한 전시 홀을 내주었는데, 거기에는 웹아트를 포함시키지 않았다. 거기에 포함된 것은 거의 대부분 컴퓨터 에니메이션이었다.

+ Other examples are the "museums" and art institutions in Seoul. I put the word museum in quotation marks, because museums in Korea are really alternative spaces. They never have an important or even a minimal
permanent collection. Exhibitions are many, curatorial seriousness is most often lacking. I'm in a good position to judge Korean art criticism and theory, because I make my living as a translator, my business is called Translations for Artists, and I work with most of the major art institutions and important curators and critics in Korea.

다른 예들은 서울에 있는 다른 "미술관"과 예술 기관들입니다. 나는 미술관이란 단어를 인용부호 속에 넣었는데, 그것은 한국에 있는 미술관들은 정말로 이상한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한 번도 중요한 혹은 최소한의 영구적인 소장품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전시회는 많고, 큐레이서의 진지함은 종종 결여되어 있습니다. 나는 한국의 예술비평과 이론을 판단하기에 아주 좋은 위치에 있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번역자로서 내 생활을 꾸려가고 내 비지니스는 예술가들을 위한 번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는 주요한 예술 기관들과 중요한 큐레이터들 그리고 비평가들과 함께 일하기 때문입니다.

+
http://www.hoammuseum.org/is the Web site for the Ho-am Museum, which is part of the Samsung Foundation, which is owned by the multinational of the same name. I think it was a major sponsor of the recent Nam June Paik show at the Guggenheim, which has just come to the Ho-am Museum in Seoul. The Samsung Foundation is probably the most powerful player in the Korean art world in terms of the money at its disposal. Its interest in contemporary art stops at Nam June Paik. Again, video seems to be synonymous with new media. The Ho-am Web site has a musty, rustic,
amateurish, indefinable look that is characteristic of Korean esthetics and true to the Ho-am esthetic. This is all the more intriguing given that its curators pride themselves on having prestigious diplomas from Western universities and cosmopolitan chic.

http://www.hoammuesum.org/는 같은 이름의 다국적 회사 소유의 삼성 재단의 일부인 호암 미술관의 웹사이트이다. 나는 그것이 서울 호암 미술관에 막 도착한 구겐하임에서 있었던 최근의 백남준 전시회의 주요한 스폰서였다고 생각한다. 삼성 재단은 한국의 예술계에서 돈에 있어서만큼은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가장 힘있는 영향력 행사자이다. 현대미술에 있어서 그들의 관심은 백남준에게서 멈춘다. 다시, 비디오는 뉴미디어와 동일어처럼 보인다. 호암 웹 사이트는 한국의 미학이 그렇듯이 케케묵고 조야하며 서투르고 막연한 모양을 하고 있다. 더 호기심을 자아내는 것은 호암 미술관의 큐레이터들이 그들의 자신감을 그들이 서구의 대학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곳에서 권위있는 학위를 받았다는 데 둔다는 데 있다.

+ "The International Digital Art Festival," or
http://www.idaf.org/,is part of the other very powerful player in the Korean art world, the Gana Art Center, http://www.ganaart.com/.You can click on the sites, but you won't be able to navigate, because they're only in Korean. This in itself is an indication that the digital revolution for much of the Korean art world is still misunderstood if not looked down on. Digital means global, and global means English, as any Korean can tell you, and tell in English. That one of the most powerful institutions in the Korean art world chooses to have a Korean-only Web site is a powerful statement for isolationism and contradiction. The IDAF was and maybe still is the first Korean attempt at what its name doesn't indicate, which is that it was an online festival. But it was a festival that didn't include online art. Instead, its organizers confused Web graphic design with Web art, a common, even willful confusion in Korea.

"국제 디지털 아트 페이스벌" 혹은 "http://www.idaf.org/는 한국 미술계에서 또 다른 매우 강력한 영향력 행사자 중 하나이다. 가나 아트 센터. http://www.ganaart.com/.당신은 이 사이트를 클리할 수 있지만 당신은 그 사이트를 돌아다니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사이트는 오직 한국어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 자체로 한국 미술계 전반에 걸쳐 일어난 엄청난 디지털 혁명이 그것이 무시되지 않았다면 여전히 잘못 이해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어떤 한국인이든 당신에게 말을 걸어 영어로 이야기하듯이, 디지털은 세계적인 것을 의미하고 세계적인 것은 영어를 의미한다.(?)??한국 예술계의 가장 영향력있는 기관에서 한국어로만 된 웹사이트를 선택한 것은 고립주의와 자기모순의 강한 선언이다. IDAF는 그 이름이 그것이 온라인 페스티벌이라는 것을 지시하지 않은 한국 최초의 시도였고 여전히 그렇다. 하지만 그것은 온라인 아트를 포함하지 않은 페스티벌이었다. 대신, 그것의 조직자가 웹아트와 웹 그래픽 디자인을 혼동했다; 한국에서는 아주 흔하고 심지어 계획적인 혼동이다.

+
http://www.artsonje.org/is the "museum" of another Korean multinational, Daewoo, which you might have read about in the newspapers, because it is in serious financial trouble. Its chief curator contacted me a couple of weeks ago and invited me to present a Korean version of my piece THE STRUGGLE CONTINUES on the Web site it is building. To my knowledge, this will be the first serious attempt in Korea to create an online event around Web art. I say attempt, because I'm not sure its curatorial team will appreciate the experience enough to collaborate with me to completion. We'll see.

www.artsonje.org는 심각한 재정난으로 인해 당신이 뉴스페이퍼에서 읽었을 지도 모르는 또 다른 한국의 다국적 기업 대우의 "미술관"이다. 그 미술관의 수석 큐레이터가 나에게 이 주 전에 연락해서, 그 미술관이 만들고 있는 웹사이트에 나의 작품 "투쟁은 계속된다"의 한국어 판을 전시하자고 나를 초청했다. 내가 알기로는, 이것은 한국에서 웹아트와 관련해서 온라인 이벤트를 만들려는 한국 최초의 진지한 시도가 될 것이다. 나는 시도라고 말했는데, 왜냐하면 나는 그 큐레이터 팀이 나와 함께 완성될 때까지 협력할 정도로 그 경험을 소중하게 여길 지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지켜볼 것이다.

+ The Total Museum in Seoul
http://www.totalmuseum.org,is one of the only "museums" in Seoul that isn't powered by a multinational. I heard that its annual "Project 8," an exhibition that usually includes 4 Korean and 4 artists from another country, will this year be a Web art show. I heard about it, because the museum's curator asked me to recommend some Web artists,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I suggested some URLs for international Web artists, which was easy, but couldn't find even one Korean Web artist other than myself. I'm sure there are some. For him and for you, I will keep searching.

토탈 미술관은 다국적 기업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 서울에 있는 몇 안되는 미술관 중에 하나이다. 나는 그 미술관의 인년마다 열리는 "프로젝트 8"에 대해서 들었다. 통상적으로 4명의 한국인 아티스트들과 4명의 외국인 아티스트들이 참여하는 이 전시회는 이번 해에 웹아트를 선보일 것이다. 나는 그 미술관의 큐레이터가 나에게 한국인과 외국인인 몇몇 웹 아티스트를 추전해 달라고 요청했기 떄문에 그것에 대해서 들었다. 나는 국제적인 웹 아티스트들의 인터넷 주소를 주었고 그것은 매우 쉬운 일이었다. 하지만 나는 나 자신 이외에는 한국의 웹아티스트를 한 명도 찾을 수 없었다. 물론 몇몇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를 위해서 그리고 당신을 위해, 나는 계속 찾을 것이다.??

+ The Internet has exploded in Korea. Most Koreans have more powerful
computers than mine. Modem connections aren't fast enough. I'm particularly at a disadvantage, because I live in one of the few remaining Japanese houses in Seoul, a tiny house in a relatively old neighborhood in the middle of the city. Fast connections are for the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where the majority of Seoulites live today.

인터넷은 한국에서 폭발적이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내 것보다 더 좋은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모뎀 점속은 더이상 빠를 수 없다. 나는 특별히 불리한 상황에 있다. 왜냐하면 나는 시중심에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이웃을 가진 작은 집, 서울에 얼마 남아있지 않은 일본식 집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빠른 접속은 대다수 서울 시민들이 오늘날 살고 있는 고층의 아파트에서 가능하다.

The relative lack of interest in Web art and the Internet as a new, alternative, exciting and unique medium for expressing oneself creatively probably stems from Web art's inherently modest demeanor. Koreans are very sociable creatures. Interactivity is, ironically, a solitary activity, much like reading a book. And as you know, people everywhere read fewer and fewer books these days, even online.

창조적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롭고 대안적이고 흥미로우며 독특한 매체로서 인터넷과 웹아트에 대한 상대적인 관심 부족은 아마도 웹 아트의 태생적으로 겸손한 태도 때문이다.한국인들은 매우 사교적인 사람들이다. 상호작용성은 아이러니하게도 고독한 활동이다. 마치 책을 읽는 것처럼. 그리고 당신이 알듯이, 사람들은 온라인 상에서도 그렇고 어디에서나 점점 책을 적게??읽는다.

Korean artists in particular like to make big, physical statements. Such
a small country, such big egos. Korean artists love the gallery or museum opening, the hoopla, the celebration, the gallery or museum catalog, the invitations, the buffet, the Event. Post-event depression is common.

한국의 예술가들은 특히 거대하고 눈에 보이는 성명을 좋아한다. 그렇게 작은 나라, 그렇게 거대한 에고들. 한국의 아티스트들은 갤러리와 미술관에서의 오프닝, 요란한 선전, 기념식, 갤러리 뮤지엄 카탈로그, 접대, 부페 그리고 이벤트를 좋아한다. 이벤트 후의 우울증은 흔하다.??

There is one particularity that has always struck me about the Korean art world. Even though there is a ministry of culture and powerful cultural institutions, it is the artist who sets everything in motion. It is the Korean artist's desire for fame and fortune that makes the Korean art world bang into action. The successful Korean artist thinks and acts like a business person: how to get one's money's worth. Things happen and disappear quickly in Korea. Patience is a fault; long-term projects are synonymous with death; explanation, discussion, thinking are for losers. Korean culture is that of the businessman. Money is the key, and results must be tangible if not monumental. In such a context, Web art is at the bottom of the agenda, just so many tiny pixels in the face of neon signs.

한국 미술계에 대해서 항상 나의 관심을 끄는 한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 문화부와 힘있는 문화 기관들의 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을 움직이는 것은 바로 예술가들이다. 한국 예술가들의 명성과 부에 대한 열망은 한국 미술과 행동을 우연히 만나게 한다. 한국의 예술가들은 비지니스맨처럼 행동한다: 어떻게 자신의 값어치를 획득할 것인가. 한국에서 일들은 일어났다가 빨리 사라진다. 인내는 잘못이다; 장기적 계획은 죽음과 동의어이다; 설명, 토론, 생각함은 패배자들의 것이다. 한국 문화는 비지니스맨의 문화이다. 돈이 열쇠이며, 결과는 기념비적인 것이 아니라면 실물적인 것이어야 한다. 그런 맥락에서, 웹 아트는 네온 사인의 수많은 작은 픽셀들처럼, 안건의 밑바닥에 있다.

The detail. If there is one art medium that loves the detail, it is Web art. For lack of a dot, an angle bracket, a quotation mark, nothing appears on the computer screen. Koreans in general, and Korean artists in particular, dislike details, the messy odds and ends that, to others, are often a joy to discover, deal with, transform, polish, and then see in all their beauty. I'm convinced that this is one of the most profound traits of the Korean soul. It is what has allowed Korea to become an economic power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The Korean dislike for the detail might also stem from obsessive comparisons with the Japanese love for the detail. Rough Korean art is then a response to refined Japanese art. This roughness is for the moment difficult to translate into worthy digital, artistic form.

세부적인 것. 세부적인 것을 좋아하는 예술 매체가 하나 있다면, 그것은 웹 아트이다. 왜냐하면 점과 조명기구와 인용부호의 결핌으로, 컴퓨터 스크린에 나타나는 것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한국인들은 특히 한국의 아티스트들은 세부적인 것을 싫어한다. (중간 생략) 나는 이것인 한국의 정신의 가장 깊숙한 특질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한국이 그렇게 단기간 내에 경제적 강국이 되게 했을 것이다. 한국인들의 세부적인 것을 선호하지 않는 것은 세부적인 것에 대한 일본인들의 사랑과 끈질긴 비료 속에서 태동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거친 한국 예술은 정제된 일본 예술에 대한 반응이다. 이러한 거침이 당장은 가치있는 디지털 아트의 형태로 형식을 바꾸는 것을 어렵게 한다.

I hope my commentary, although critical, is not a condemnation of the Korean art world's response to new media. As I said, things happen very fast here, mostly because ours is a conformist society, and Web art could very well become fashionable tomorrow. Stay tuned.

나는 나의 언급이, 비록 비판이었지만, 뉴미디어에 대한 한국 미술계의 반응에 대한 비난은 아니었기를 희망한다. 내가 말했듯이, 이 곳에서??대체로 우리의 사회가 체제 순응적인 사회이기 때문에 모든 것은 매우 빨리 일어나고, 웹아트는 분명히 곧 유행하게 될 것이다. 가만히 있자.

Westerners often tell me they have no image of Korea. This is a banal, fascinating insight, indicative of Korean culture. I find it easy to live with this invisibility. The Korean government finds it difficult to swallow. I lived for over 10 years in Paris. Everyone has an image of Paris. I found that contemporary art in Paris wasn't as exciting as elsewhere, including in Korea. I speculated that the omnipresent weight of French culture and beauty must paralyze today's French artist. Things are ugly and forgettable in Korea. Yet there is beauty here, secret rewarding beauty to the one who seeks it out.

서구인들은 내게 종종 한국은 이미지가 없다고 말한다. 이것은 한국 문화를 가리키는 평범하고 매혹적인 통찰이다. 나는 이 보이지않음과 함께 살아가는 것이 편하다는 것을 안다. 한국 정부는 쉽사리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다. 나는 10년간 파리에서 살았다. 모든 사람들은 파리의 이미지를 갖고 있다. 나는 파리의 현대 미술이 한국을 포함해서 다른 곳만큼 흥미롭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편재하는 프랑스 문화의 무게와 아름다움이 오늘날 프랑스 아티스트들을 마비시키고 있음이 틀림없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사물들은 추하고 잊을만하다. 하지만 여기는 아름다움이 있다. 그것을 찾는 사람에게 아름다움이 보답한다는 비밀.

[Young-hae Chang is an artist living in Seoul. She recently received an
Honorable Mention in the SFMoMA Webby Prize.]

http://rhizome.org/thread.rhiz?thread=1577&text=1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