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ybernetics
- BMW
- TV부다
- planar
- 팀보이드
- contax g
- leica
- 인천아트플랫폼
- 알고리즘 아트
- 비디오아트
- 질베르트 시몽동
- biogon
- grd
- Z4
- 미디어아트
- Jeffrey Shaw
- Pierre Levy
- zeiss
- 유원준
- panasonic gf-1
- game art
- 바람난미술
- 김병호
- Roy Ascott
- media art
- 라이카
- 백남준
- 퍼블릭아트
- 웹툰비평
- UVA
- Today
- Total
목록미디어아트 (30)
유원준의 문화/예술 비평
어두운 공간 속에서 서로를 마주하고 있는 네 명의 사람들이 보인다. 그들은 약간의 긴장감을 유지하며 맞은편의 대상을 응시하며 관찰한다. 관찰자인 나와 그 관찰의 대상인 타인. 이러한 관계설정은 자아와 타자의 근원적인 구분을 넘어 작용의 송신자와 수신자로서의 서로를 전제하고 있다. 작가 장지희의 신작 는 우리가 흔히 겪게 되는 무수한 마주침의 순간들에서 서로의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져본다. ‘처음 오는 곳, 처음 대하는 장면, 처음 만나는 사람인데 어디선가 이미 본 것 같은 느낌’ 을 가리키는 심리학적 용어인 ‘데자뷰[déjà vu]’ 는 그녀의 작품 속에서 관계에 대한 탐색 과정에서 오는 결과적인 현상으로서 제시된다. 서로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고 구분하는 행위를 통해 그들은 서로의 관계를 형성하..
과연 비트(bit)는 형태(form)를 만들 수 있을까? 2005년 9월. 의류회사인 (주) 한섬의 투자를 받아 국내에 들어온 '비트폼(bitforms) 갤러리 서울'이 2007년 11월 전시를 마지막으로 2년여간의 활동들을 뒤로한채 사라진다. 비트폼 갤러리는 그동안 국 내외의 참신한 뉴 미디어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며, 그들의 작품이 지닌 시장적 가치를 발견하고 소개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최첨단의 디지털 미디어 예술 작품을 국내에 소개하고자 시도했던 비트폼 갤러리가 지난 시간동안 남긴 의미는 무엇일까? 최근 국내에서는 다양한 형식의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예술 작품들이 선보여지고 있다. IT 관련 최첨단의 기술력을 보유했다는 국내의 상황과 맞물려 호기심어린 시도부터 시작하여 과학과 예술의 연결성을..

12월 1일, 뉴욕에서 'New Museum of Contemporary Art' 가 (재)오픈합니다. 예전부터 Rhizome과의 연대를 통해 다양한 전시 및 프로젝트 활동들을 선보여왔는데,,, 웹 사이트 역시 인터페이스가 리좀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보아,,, 계속 연계를 하여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리라 생각됩니다.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LLWW, New York City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 New York State Council on the Arts, and our Board of Trustees and members 등이 후원을 한다고 하는데,,,(거기에다가 추가적으로 여러 재단 or 업체들이 서포트를 한다고 합니다.) 건..

재미있는 워크샵 소식이 있어 올려봅니다~^^ 이름부터 심상치 않은데요.. '첫눈에 반한 미디어아트' 라... ㅎㅎ 10월 12일(내일이네요~~) 연세대학교 글로벌 라운지에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자연과학/수학의 대안교과로서의 미디어아트" 를 소개하고 자연과학'에 보다 친숙하게 다가서게끔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고 합니다 참여작가인 '최승준'씨가 매번 주장하시던 말씀처럼, 분명 미디어아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자연과학적 요소들을 발견해 보려는 프로그램이리라 생각됩니다. 낯익은 분들의 이름이 많이 보이네요. (사실, 매일 보는... ㅠ.ㅠ) 아무래도 'processing'이라는 툴을 사용하기 때문에 나비 아카데미' 강좌의 강사분들도 포함되어 있고,,, 흠.. 모두 열심히 작업하시는 분들이라서 기대가 됩니다. ..

최근 국내 미디어아트계?에는 다양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다소 침체기에 빠져있는듯 했던 미디어를 활용한 예술 현상들이 점차 다양한 코드들과 섞여 대중들에게 친근한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어찌보면 자연스럽다. 과거 예술 형태와의 차이점을 들며 굳이 분류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더라도 새로운 미디어가 지닌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그것에 부합하는 '맥락'이 함께 제시되어야 함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미디어아트는 기존 예술이 가지고 있던 형식을 차용하던 종래의 습성에서 벗어나 자신의 장점들을 하나씩 풀어내는 듯, 시각 체계에 의존했던 '이미지'의 굴레를 벗어던지고 다른 감각들과의 공감각적 동반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라는 굴레아닌 굴레를 강조하였던 과거의 장르적 양상을 벗어나..

오늘은 흥미로운 작업들을 선보이고 있는 'China Blue'라는 아티스트를 소개합니다. 주로 미국(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녀는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선보이고 있는데, 특히나 이번에(9월 28일 오픈??) 진행되는 'Sculpting the Tour Eiffel in Sound' 프로젝트는 정말 기대해 볼만한 것 같습니다. (규모가.... ^0^ ㅎㅎ) 예전에 진행했었던 프로젝트들도 건축과 미디어(사운드)를 결합한 형태의 것이었는데, 그녀의 관심사를 사람. 그리고 그것과 관계하는 장소, 여기서 발생하는 사운드. 정도로 요약해 본다면, 이번 프로젝트는 그러한 그녀의 관심사를 충실하게 반영하는 프로젝트라 보입니다. 에펠탑이라는 상징적인 구조물에서 벌어지는 사운드 프로젝트. 아. 현장에 가보고 싶군요. ㅠ...
요즘. 사운드를 활용한 미디어 작업들이 다양하게 선보여지고 있습니다. 간간히 들려오는 대안공간 루프에서의, 쌈지 스페이스에서의, 그리고 아트센터 나비가 준비하고 있는 파티(p.Art.y) 등의 일련의 행사들을 보면 현재 국내의 미디어아트계가 얼마나 '사운드'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겠죠. 인미공에서도 9월 7일까지 'Art of Listening'이란 제목으로 스크리닝전이 진행되고 있네요. 글로벌 스크린(Global Screen)/유비호 의 영상작업들이 스크리닝 된다고 하는데,,, 흠 어떨까요? 아래는 인미공에서 제공하는 이번 상영전의 정보입니다. ------------------------------ Art of Listening Screening : Visual Sound 2007. 8. ..
매체윤리 Medienethik, 클라우스 비거링(Klaus Wiegerling), 유봉근/오은경 역,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기술적 세계 창조의 시대’를 살고있는 우리들은 그러한 기술적 진보를 통한 새로운 매체들에 뒤덮여 살아간다.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이라는 말에서 느껴지듯이, 이미 우리의 현실 세계는 인공적으로 확장되어져 디지털 적으로 재현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오늘날의 우리의 현실 세계를 발전시키고 이끄는 원동력의 출처를 새로운 기술적 진보가 제공하는 매체적 기계장치들에서 찾을 수 있는 상황이 된 것이다. 굳이 ‘현실-가상’ 의 이분법적 체계를 떠올려보지 않더라도, 피터 바이어 Peter Weir 의 영화 『트루먼-쇼』의 한 장면을 되짚어보지 않더라도, 매체가 우리 ..
Nabaz 토끼들의 mob이라...^^
Ballet Mori: a ballet conducted by the earth _SF Opera House, 4 April 2006 Ken Goldberg는 대단하다. 지구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음악이 작곡되고 그것과 어우러지는 즉흥 안무라니. 바그너의 총체극에 새로운 매체가 더해지면 이런 모습으로 진화할까. ------------------------------------ To commemorate the 1906 San Francisco Earthquake, Ken Goldberg conceived Ballet Mori to engage the Earth as a living medium and a conductor for dance. For the first time, network techno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