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rd
- planar
- Roy Ascott
- 팀보이드
- media art
- Cybernetics
- TV부다
- 미디어아트
- contax g
- panasonic gf-1
- leica
- 바람난미술
- 백남준
- zeiss
- 라이카
- 비디오아트
- game art
- 질베르트 시몽동
- biogon
- 알고리즘 아트
- 김병호
- Pierre Levy
- Z4
- 유원준
- 퍼블릭아트
- UVA
- 웹툰비평
- 인천아트플랫폼
- Jeffrey Shaw
- BMW
- Today
- Total
유원준의 문화/예술 비평
형이상학과 과학 밖 소설 : Quentin Meillassoux 본문
전공이 철학 쪽이거나 해당 영역에 관심이 많아 철학(혹은 미학)서를 주로 읽는 이들이라면 난해한 용어와 개념에서 탈출하여 조금은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에 끌리기 마련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책을 통해 쉼을 실천하며 다른 세계로의 이동을 꿈꾸게 만드는 소설책이나 시집 등은 매우 매력적인 탈출구로 여겨진다. 특히 '과학-소설(Science-Fiction)'의 경우, 동시대의 철학적 지류와의 교차점을 형성하는 가운데 특유의 상상력이 더해진 것일 수 있기에 이러한 욕구는 더욱 커지게 된다. '메이야수(Quentin Meillassoux)'의 책, '형이상학과 과학 밖 소설'을 처음 접하게 되었을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과학 밖 소설'이라는 수식도 무언가 신선했지만 당구대와 큐, 당구공이 일러스트로 그려진 책의 표지는 왠지 모르게 과학과 철학을 가로지르는 발칙한 상상력으로 씌여진 그러나 본격적인 철학의 노선에서는 잠시 이탈하여 숨을 고르게 만드는,,, 그러한 책일 것이라는 기대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기 때문이다.
저자인 메이야수는 '사변적 실재론(Spéculatif Réalisme)'이라는 철학적 조류를 탄생시킨 장본인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번역되고 있는 '그레이엄 하먼(Graham Harman)'이나 '레이 브래시어(Ray Brassier)', '해밀턴 그랜트(Iain Hamilton Grant)' 등이 이 흐름에 속한 연구자들인데 메이아수는 이들 중 가장 본격적으로 과거 철학의 상관주의적 측면을 비판하며 해당 운동을 이끌고 있다. 그의 핵심적 논의가 소개된 저서 '유한성 이후(After Finitude)'는 '칸트(Immanuel Kant)' 이후 현대 대륙 철학이 줄곧 전제해 온 인간 외부의 모든 절대를 (인간의) 사유가 절대 도달할 수 없는 신비화된 영역으로 치부하는 전통을 거부하기 위한 선언문과 같은 책이다. 책의 제목에 등장하는 '유한성'은 칸트가 지적한 인간의 인지적, 실천적, 미적 한계를 직접적으로 겨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메이야수는 대륙 철학의 상속자로서 칸트의 유산을 정면으로 거부하는 셈이다.
그러나 '유한성 이후'의 역할은 현대 철학의 상관주의적 광신을 비판하며 형이상학적 절대로도, 상관주의적 신비로도 환원되지 않는 새로운 수학적 절대를 제시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 '과학 밖 소설'의 역자 엄태연은 이러한 메이야수의 기획이 인간의 유한성이라는 관념이 정확히 어떤 지점에 한정되어야 하는지를 드러냄으로써 유한성 밖으로의 길을 여는 '비판의 비판'임을 지적한다.1 따라서 이 책의 제목으로부터 기대하게 되는 유한성 이후의 영토를 발견하고자 하는 이들이라면 매우 난해한 장애물들로 가득찬 이 책에서 목적지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라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형이상학과 과학 밖 소설'은 '유한성 이후'의 출간(2006) 이후,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이루어진 강연을 옮긴 책이다. 결과적으로 이 책 역시 철학적 개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는데, 당시 메이야수의 관심이 '유한성 이후'에서 제기한 개념들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에 이 책은 '유한성 이후'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내용으로 갈무리 되어있다. 특히, '유한성 이후' 4장에서 소개되는 자연법칙에 대한 '흄(David Hume)'의 문제와, 칸트, '포퍼(Karl Popper)'의 해결책을 검토하는 부분이 문학 장르로 변환되어 전개된다. 흥미를 불러일으켰던 책 표지는 흄이 인과 필연성의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 예시한 당구공의 운동에 관한 것으로서 본문에서는 '아이작 아시모프(Isaac Asimov)'의 단편 '반중력 당구공(La Boule de billard)'까지 소개되고 있어 문학적인 동시에 철학적인 실험들이 행해지는 현장으로 독자를 초대한다. 메이야수가 제시하는 개념들에 약간의 문학적 해설을 원하는 이들이라면 더없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다만 이 책 역시 그리 만만치는 않다.
1. 퀑탱 메이야수(Quentin Meillassoux), 엄태연 역, 형이상학과 과학 밖 소설, 이학사, 2017, p.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