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zeiss
- 라이카
- game art
- 김병호
- leica
- 질베르트 시몽동
- planar
- 백남준
- 웹툰비평
- Pierre Levy
- Cybernetics
- Roy Ascott
- panasonic gf-1
- contax g
- media art
- 유원준
- 퍼블릭아트
- TV부다
- 인천아트플랫폼
- 미디어아트
- 바람난미술
- grd
- 알고리즘 아트
- Jeffrey Shaw
- biogon
- BMW
- Z4
- UVA
- 팀보이드
- 비디오아트
- Today
- Total
유원준의 문화/예술 비평
엄정원 / 도처에 존재하는, 그러나 어디에도 없는 본문
홍티아트센터, 엄정원 작가 개인전 <형제섬>
도처에 존재하는, 그러나 어디에도 없는
환상의 섬이 있다. 아니 더 정확하게는 사람들의 환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섬이다.
섬의 실체를 파악하는 작업에 착수해보려 한다. 매일 접근할 수 있는 곳은 아니기에 또한 기상 조건이 허락할 때에만 보이는 섬이기에 이러한 환상이 증폭되고 있는 까닭이다. 구전 설화는 대략 이런 조건에서 만들어진다. 실체에 가까이가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현상이 불쑥불쑥 우리의 삶 속으로 침투하게 된다면 현상은 어느새 일루젼 그 자체로 존재하게 된다. 다만 이 섬의 실체가 설령 환상 속의 그것과 다르더라도 실체가 환상을 오염시킬 수는 없을 듯하다. 그러기에는 환상에 관한 사람들의 믿음이 굳건하며 따라서 현실을 마주하는 일 조차 쉽사리 시도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상과 진실 사이의 간극은 궁금하다. 그 환상에 관한 실체적 원인을 규명하여 누구에게 읍소하여 진실을 파헤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현실은 중요치 않다. 그렇게 믿고 있는 사실이 중요할 뿐이다.
철학자 보드리야르는 지도가 영토에 선행하는 역설적 상황에 관하여 설명한다. 과거 영토(실체)를 기반으로 지도(가상)가 만들어졌다면, 현대 사회에서는 지도로 대변되는 가상적 세계가 현실(영토) 세계에 선행하게 된다는 것인데, 최근까지도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간척사업이나 바다를 자신들의 국토로 메워가는 중동 지역의 매립 상황을 떠올려보면 쉽게 납득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가상 세계의 현실 세계로의 침투와 구전으로 전해오는 설화와 같은 환영을 같은 선상에서 논의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양자 모두 현실(실체)이 인식론적으로 후행의 대상이란 점에서 그 궤를 같이 한다. 이러한 경우, 그 사이에 허구적 요소가 침투하게 되는데 여기서 그것의 정체가 결정된다. 아직 현실에서는 구현되지 않았지만 멀지 않은 장래에 존재하게 될 잠재적 성격을 갖게 되는 경우이거나 혹은 현재이건 미래이건 현실에서는 성립할 수 없는, 온전히 환상의 영역에 머무르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러한 간극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또는 기술의 발달이나 그 밖의 요소들에 의하여 그 거리가 좁혀지기도 하지만 오히려 증폭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가상의 모습이 현실에 근거하되 현실적 요소로서 구성되지 않는 경우엔 앞서의 언급처럼 가상이 현실을 압도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홍티 아트센터의 입주작가 엄정원의 개인전 <형제섬>은 이러한 맥락에서 설화(일루젼, 가상)와 현실(실체) 사이 공간에 관객들을 초대한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형제섬을 다룬 작품 이외에도 작가의 이전 작업들을 함께 만나볼 수 있는데, 직접적으로 내용이 연결되지는 않지만 작가의 관심사의 미묘한 줄기를 파악해 볼 수 있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관객들은 송전탑의 모습이 찍혀있는 이미지(<경남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와 부산 지역의 터널, 고가도로 등이 표기된 덕지덕지 이어붙여진 지도(<도로에 관한 시>)와 마주하게 된다. 뜻밖의 장면들을 앞두고 어떻게 해석해야 되는지 당황스러울 무렵 전시장 안쪽의 형제섬 작품 군과 만나게 된다.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는 작가의 작품 및 설치의 특성은 그 대상은 가상적이며 형식은 파편적이라는 것이다. 난해할 수밖에 없는 이런 작품의 성격이 작품의 의미에 접근하기 어렵게 만들지만, 그럼에도 하나 둘씩 놓여 있는 단서들을 찾아 그 의미를 연결해보자.
우선, 전시장 초옆의 작품군은 우리의 현실을 구성하고 있는 기반시설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표면화되지 않는 그러나 아주 근본적인 현실의 요소로 볼 수 있다. 그 자체로서 생산적 기능을 하지는 않더라도 도시의 생산성을 담보하는 혈맥과 같은 이러한 요소들은 우리 사회와 현실을 구성하는 매우 필수적인 것임에도 그 모습이 어쩐지 가상적이다. 사실, 현실이라는 것이 우리의 인식 속에서 현실적인 성분으로만 구성되지는 않는다는 것은 어렵지 않게 설명된다. 어쩌면 너무 가까이에 있기에 그 모습을 보기 어렵거나 현실의 근저에 놓여있어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왕왕 존재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인프라-스트럭처는 그렇게 가상적이 된다. 작가가 주목하는 현실에 관한 시각은 이러한 지점에 수렴한다.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것과 보이지만 존재하지 않는 것 사이의 이상야릇한 간극은 삶의 도처에서 발견된다. <도로에 관한 시>는 이름이 지어지지 않는 그러기에 호명되지 않는 무수히 많은 현실적인 것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작가는 부산 지역의 두 지점을 임의로 지정하고 구글 맵을 지도 삼아 도보와 자동차, 자전거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여행한다. 임의로 구성된 경로이기에 우리가 흔히 여행지에서 만나게 되는 관광 명소가 아닌, 매우 실질적인 현실 세계를 마주하는 경험인 셈인데 작가는 이곳에서 만나게 되는 여러 가지 것들에 이름과 설명을 부여한다. 현실임에도 가상으로 느껴지는 이름 붙여지지 않는 사물들은 이를 통해 드디어 현실에 안착하게 된다.
한편, 앞서의 작품들이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것이었다면, 형제섬은 보이지만 (그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지닌다. 마치 미신처럼 또는 설화처럼 그 현실적 근거가 가려져 있어 쉽게 도달하기 어렵지만 그럼에도 현실이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는 역설적 상황이 작품의 배경이다. 작품은 크게 망원경으로 관찰된 형제섬의 모습이 투사된 벽면 스크리닝과 관찰 일지, 섬에 입도하여 일종의 퍼포먼스를 진행하는 다큐멘터리 비디오로 구성된다. 형제섬이라는 하나의 사건이자 현상에 망원경으로 포착된 상을 통하여 그리고 다큐멘터리 형식이라는 상반되는 두 가지의 접근 방식이 사용된다. 망원경은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눈앞으로 가져오는 도구라는 점에서 일견, 현실의 장면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것 같지만, 프레임의 한계 때문에 현실의 온전한 모습을 전달해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다분히 가상적 성질을 획득한다. 만약 육안으로 관찰되는 형제섬의 모습으로부터 그것에 대한 설화가 형성되었다면, 망원경은 이러한 설화에 현실성을 부여하는 도구가 될 수는 있지만, 섬 자체의 현실성을 담보하지는 못하는 까닭이다. 반면, 섬에 입도하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상은 그 자체로 현실의 부분임을 드러낸다.
사실, 형제섬에 관한 뚜렷한 설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형제섬이라는 이름이 붙은 연유도 두 개의 봉우리가 바다 위로 빼꼼히 나타나 있어 붙은 이름으로 추정될 뿐, 형제에 관한 감동어린 이야기를 기대했다면 그것이야말로 관습적 추정일 뿐이다. 형제섬과 그것을 관찰하는 이들의 물리적 간극은 13km, 이 거리는 육안으로의 관찰이 날씨나 다른 조건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자연스레 여기에 이런저런 이야기가 덧붙여 질 수는 있을 것이다. 작가 또한 이러한 관찰자의 입장을 자신의 관찰일지를 통해 고수하는데, 이는 앞서 두 가지의 접근 방식으로부터 형제섬의 가상과 현실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관객 또한 관찰일지를 통해 작품의 가상적 환경에 몰입하게 되는데, 이를 기반으로 첫 번째 설치 형식, 즉 두 개의 벽면과 그것 사이의 회전하는 화면에 의해 나타나는 이미지를 마주하게 되면 그것이 섬의 환상적 이미지의 극대화된 형태임을 깨닫게 된다. 만약 형제섬에 관한 어떤 허구적 설화가 만들어졌다면, 바로 이곳이 진원지가 될 것이라고 말하듯 회전하는 벽면은 간헐적으로 완성되는 섬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보일 듯 보이지 않아 며칠 동안의 일지를 통해 확인할 수 밖에 없는 섬의 신비스러운 이미지는 현실의 섬을 일종의 가상적 존재로 변화시킨다.
흥미로운 점은 섬에 대한 상반된 접근 방식 또한 동시에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영상은 앞서의 스크리닝 설치를 넘어 전시장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마치 진실의 순간에 도달한 듯 가상(허구)의 진원지이자 현실적 모티브인 섬에 입도하는 과정이 담겨있다. 영상은 다큐멘터리 형식의 비디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종의 보도탐사영상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실제로 공식명칭인 ‘북형제도’를 살펴보면, 실제로는 5개의 큰 바위섬과 몇 개의 작은 섬들로 구성된 군도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앞서의 망원경과 마찬가지로 보고 싶은 장면만으로 현실의 세계를 가상적 혹은 상징적 방식으로 구성하는 우리의 관습을 떠올리게 만든다. 그러나 영상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방식을 취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실제 섬의 해안가에서 돌과 같은 주변의 사물들을 모아서 일종의 퍼포먼스를 행하는데, 앞 설치에서 증폭된 가상적 이미지가 해체되는 순간이라기보다는 그러한 가상에 취해버린 관찰자들을 위한 제의적 행위에 가깝다. 결국 이러한 작업을 통해 형제섬이 현실의 범주 속으로 들어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이 지닌 가상적 순간을 증폭시켜 우리가 인식하는 섬의 모습이 현실이 아님을 그리고 그것이 현실이건 아니건 간에 우리에게 남는 것은 (도처에 존재하는 그러나 어디에도 없는) 실체화된 환상(가상)임을 밝히고 있을 뿐이다.
2018년 6월, 홍티아트센터 입주작가 비평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