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웹툰비평
- 바람난미술
- game art
- 비디오아트
- 백남준
- BMW
- planar
- media art
- contax g
- panasonic gf-1
- Cybernetics
- UVA
- Z4
- 퍼블릭아트
- zeiss
- Pierre Levy
- TV부다
- Jeffrey Shaw
- leica
- 유원준
- 알고리즘 아트
- 라이카
- Roy Ascott
- grd
- 질베르트 시몽동
- 인천아트플랫폼
- biogon
- 김병호
- 팀보이드
- 미디어아트
- Today
- Total
유원준의 문화/예술 비평
‘실재보다 허구같은, 허구보다 실재같은’: 아트센터 나비 <Real Fiction>展 본문
지난 4월 24일부터 아트센터 나비에서 진행되고 있는 <Real Fiction>전에서는 A/A(안드레아 그라이너/아민 케플리너), 변지훈, 전형산의 실재와 허구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Real Fiction : 실재적 허구’라는 역설적 전시명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번 전시는 우리의 현실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실재와 허구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특히, 실재와 허구, 현실과 가상 사이의 ‘시간성’이라는 요소에 집중하면서 그 간극으로부터 변화하는 우리의 현실에 주목한다.
변지훈은 <시계 Clock>, <서울시계 Seoul Clock)>를 통해 전시의 의도를 적확하게 표현한다. 마치 먼지처럼 보이는 디지털 입자들은 현실의 시간을 보여주는 동시에 소멸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가 상호작용적으로 진행되어 시간의 추상성을 경험케 하는데, 너무나도 당연하게 시각적 체계로 인식된 시간성은 파편화된 입자들로부터 관객들을 현실적 순간으로 돌아오게 만든다. ‘서울시계’는 시간성과 장소성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며 ‘시계’에서 강조되었던 시간의 간극을 공간적 특성과 연계시킨다. 관람객이 자신의 디바이스를 통해 작품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현재의 지리적 위치와 연동되는 작품의 시간 그리고 관객의 시간이 조우하게 된다.
한편, 전시장 안으로 진입하며 만나게 되는 전형산 작가의 사운드 설치작들은 ‘소리’라는 매개체를 통해 현실 세계의 가상성에 주목하는 작품들이다. ‘비음악적 소리’에 관심이 많은 작가는 <선험적 편린들 #3>, <선험적 편린들 #6>를 통해 우리가 동치시켰던 음악과 소리를 분리해내는데, 라디오 장치와 다섯 개의 수신기로 구성된 ‘실험적 편린들 #3’는 수집된 라디오 주파수의 노이즈를 조작하고 변형하여 순수한 노이즈로 분해한다. 또한 ‘실험적 편린들 #6’의 경우에는 전기계량기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시키는 작품이다. 실제로 존재하지만 우리가 경험할 수 없었던 소리들이 우리의 현실 세계 속 순수한 노이즈 사운드로 나타난다.
A/A의 작업은 앞서의 작품들보다 다소 관념적이다. <.>에서 작가들은 천장의 튜브를 통해 흘러나온 증류수를 일정 기간 동안 물방울의 형태로 지속시키는 마법과 같은 순간을 선보인다. 현실에서 우리의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를 기술의 도움을 받아 존속시켜보려는 시도이다. 따라서 현실임에도 마치 허구처럼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1:1>의 경우엔 아직 발생하지 않은 그러나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는 잠재적 현실을 상상하게 만든다. 만약, 잠재성을 보다 적극적인 실재성의 범주에서 사유해보자면 이 작품은 아직 발생하지 않았기에 현실로 볼 수 없는 일종의 허구를 다루고 있지만, 이러한 허구는 잠재적 현실로서 이미 존재한다.
전시장 안쪽에는 VR 기기를 통해 본격적으로 가상현실을 체험해 볼 수 있는 A/A의 <A\Doom>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작품은 HMD 형태의 장치를 통해 무중력 상태의 세계를 경험하게 만드는데 가상 세계에 관한 현실-몰입적 경험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가상 세계의 허구성을 짙게 드러낸다. 이는 관람객의 눈-앞에서 해체되고 직조되기를 반복하는 무채색의 기체로 인한 추상성 덕분인데, 흑과 백의 수묵의 공간 속에서는 역설적으로 동양화에서 강조했던 여백의 깊이감을 경험해 볼 수 있다.
예술은 과거로부터 허구와 실재의 틈새를 옮아가며 때로는 허구의 문법 속에서, 때로는 현실의 객관적 기준을 통해 우리의 현실을 반추하고 재조직해 왔다. 다만 흥미로운 지점은 이러한 예술이 재현하려는 현실이 더 이상 과거의 기억처럼 실재적 차원에서만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의 현실은 이미 예술 작품이 보여준 허구적 상황을 초월하고 있다. 따라서 전시에서 마주한 작품들이 제시하고 있는 실재적 허구의 순간들은 역설적으로 매우 현실적이다. 오히려 우리는 전시장 밖에서 실재같은 허구, 허구같은 실재 상황을 목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7년 6월 퍼블릭아트(Public Art) 기고글.